The "Emotional Time Lag" Issue in the AI Era: Are Your Records Safe with UTC and KST?

– 우리는 같은 시간을 살고 있는 걸까요, UTC 그리고 감정의 시차 –
어젯밤 11시, 감정을 가득 담아 보냈던 저의 메일.
그런데 로그에는 "오전 2시"라고 남아 있었습니다.
저의 마음은 그 밤에 무너졌지만,
시스템은 그 무너짐을 마치 아침의 평온처럼 기록해 버렸습니다.
우리는 같은 사건을 기억하고 있지만,
같은 시간을 살고 있는 걸까요?
UTC란 무엇인가 – 시간의 기준, 그러나 감정 없는 기준
UTC(Coordinated Universal Time)는 전 세계가 사용하는 시간 기준입니다.
한국을 포함한 각 나라는 UTC에 시간차를 더해 지역 시간(Local Time)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 시간(KST)은 UTC+9입니다.
즉, UTC가 오전 9시일 때, KST는 오후 6시가 됩니다.
서버, AI, 이메일 시스템, 클라우드, 블록체인 등 대부분의 기술 기반 시스템은 UTC로 작동합니다.
이는 "지역을 넘나들며 일관된 기준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KST라는 감정 시간 – 우리가 살아낸 진짜 시각
KST(Korea Standard Time, 한국표준시)는 대한민국이 사용하는 공식 시간대이며, UTC보다 9시간 빠른 시각을 기준으로 합니다.
즉, UTC가 오전 0시일 때, KST는 오전 9시입니다.
모든 국민의 일상, 감정, 기억은 이 KST를 기준으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우리가 눈물을 흘린 시간도, 누군가의 고백이 있었던 순간도, 모두 KST라는 감정 시간 속에 존재합니다.
하지만 사람은 UTC로 살고 있지 않습니다.
저도, 여러분도 KST로, 감정과 함께 지역 시간으로 살아가고 있습니다.
누군가는 "새벽 2시"에 실연을 겪고,
누군가는 "오후 4시"에 고백을 합니다.
그 시간은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기억과 감정이 담긴 진짜 시간"입니다.
시스템이 감정을 왜곡하는 순간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오후 6시에 블로그에 쓴 글이, 시스템에는 "오전 9시"로 남습니다.
메일을 밤에 보냈는데, 수신자에게는 새벽 시간으로 표시됩니다.
시간의 차이로 인해 감정의 타이밍이 왜곡되고,
사람들은 그 감정의 '진실성'조차 의심하게 됩니다.
“그 시간에 정말 그랬어?”
“그거 새벽 2시에 쓴 거 아니야?”
이 질문들은 시스템의 기록을 진실로 간주하고,
사람의 감정을 왜곡된 것으로 판단해 버리게 됩니다.
왜 시간 기준도 윤리의 대상이 되어야 할까요?
시간은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사건의 맥락과 감정의 흐름을 담는 틀입니다.
따라서 '시간 기준'도 윤리의 관점에서 다루어져야 합니다.
예를 들어, 같은 사건이라도 기록된 시간이 달라지면 감정의 온도와 사회적 반응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시스템이 표준 시간대만을 우선할 때, 사용자의 감정은 배제됩니다.
윤리는 단지 콘텐츠의 "내용"에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기록이 작성된 "시간" 역시, 감정과 맥락이 담긴 윤리적 요소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합니다.
AI 시스템, 블로그, 이메일, 댓글 등
모든 디지털 흔적에 있어서 시간은 증거이자 맥락입니다.
시스템은 UTC로 기억하겠지만,
우리는 감정으로 살아냈습니다.
Brandon Ethics 제안 : 감정 기반 시간 기록 기준
그래서 저희는 작은 제안을 해보고자 합니다.
시간의 기록은 단지 기술적인 표준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그 안에 담긴 감정과 맥락, 그리고 삶의 리듬을 함께 담아야 한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 기본 표기: KST (한국표준시) 기준 우선
- 기술적 기록 병기: UTC 병기 (예: 2025-05-26 18:52 KST / 09:52 UTC)
- 중요한 사건/감정/리포트 기록 시: 감정 발생 당시의 시간대 명확 표기
마무리하며
기계는 UTC로 작동하고, 시스템은 UTC로 기록을 남기지만,
저희는 우리의 감정을 KST로 살아냈습니다.
진정한 기록은 그 사이를 잊지 않는 것입니다.
그 시차 속에 흐르는 감정과 맥락을 이해할 수 있을 때, 비로소 윤리가 완성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dVOCXkN7A7c
🎥 출처: Brandon AI 윤리 공식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BrandonAIEthics
Brandon AI Ethics
Brandon AI윤리 Solution Center(BAESC)Brandon AI 윤리솔루션센터 기술은 빠르게 진화하지만, 우리는 그 속도를 따라가기보다 의미를 지켜갑니다. Brandon Ethics는 인공지능 시대의 윤리, 책임, 그리고 신뢰를
www.youtube.com

사용자의 감정의 시간을 보호하라!
“기록은 살아 있는 감정으로 숨 쉬고,
그 감정은 존재를 회복시키며,
존재는 결국 존엄을 다시 세운다.”
“Records breathe as living emotions,
and these emotions restore existence,
which in turn re-establishes dignity.”
:
In the Age of AI Ethics, Is My Recorded Time Being Protected?
– Are we living in the same time? UTC and the emotional time gap –
Introduction
At 11 p.m. last night, I sent an email filled with emotion.
However, the system log recorded it as "2 a.m."
My heart had collapsed that night,
but the system remembered it as a calm morning.
We remember the same event,
but are we really living in the same time?
What is UTC – A Standard of Time, Yet Lacking Emotion
UTC (Coordinated Universal Time) is the global standard for timekeeping.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operate on local time by adding a time offset to UTC.
For instance, Korea Standard Time (KST) is UTC+9.
So when it is 9 a.m. UTC, it is 6 p.m. KST.
Servers, AI systems, email platforms, cloud infrastructure, and blockchain technologies all rely on UTC for consistency,
because "a unified time reference is necessary across regions."
KST as Emotional Time – The Time We Truly Live In
KST (Korea Standard Time) is South Korea's official time zone, which is 9 hours ahead of UTC.
So when it is 12:00 a.m. UTC, it is 9:00 a.m. KST.
All daily life, emotions, and memories in Korea operate based on KST.
The tears we shed, the moments we confessed our hearts — they all live within the emotional rhythm of KST.
Humans do not live by UTC.
I live in KST. You live in KST. We all live by our local emotional time.
Someone experiences heartbreak at "2 a.m.",
Someone confesses their love at "4 p.m."
That time is not just a number — it is "a time filled with memory and emotion."
When Systems Distort Emotion
Let us take an example.
A blog post written at 6 p.m. appears in the system as "9 a.m."
An email sent at night shows up as early morning for the recipient.
This time gap distorts the timing of emotion,
and people begin to question its authenticity.
“Did that really happen at that time?”
“Wasn’t that written at 2 a.m.?”
These questions presume the system’s record is the truth,
and dismiss human emotion as unreliable.
Why Should Time Standards Also Be Seen Through an Ethical Lens?
Time is not just a number — it is a frame that holds the context and flow of emotions.
That is why the standard of time must be addressed through an ethical perspective.
The same event, when recorded at a different time, may be interpreted differently in emotional and social terms.
When systems prioritize standard time zones only, they exclude the user's emotional truth.
Ethics is not limited to the "content" alone.
The "time" when a record was created is also a critical ethical element, carrying emotion and context.
Across AI systems, blogs, emails, and comment threads,
time serves as both evidence and context.
Systems remember in UTC,
but we live through emotion.
Brandon Ethics Proposal : Emotion-Based Time Recording Standard
Therefore, we would like to offer a small suggestion.
We believe time records should not merely follow technical standards —
they must also carry the rhythm of life, emotion, and context.
- Default notation: Prioritize KST (Korea Standard Time)
- Dual notation: Provide UTC alongside (e.g., 2025-05-26 18:52 KST / 09:52 UTC)
- For emotional or significant records: Clearly state the time zone at the moment the emotion occurred
In Conclusion
Machines operate in UTC, and systems record in UTC,
but we live our emotions in KST.
True recordkeeping does not overlook that gap.
Only by recognizing the emotional and contextual time between those zones can ethical integrity be fulfilled.
'닥터 브랜든 모드 진료실 > AI윤리 심층 진단' 카테고리의 다른 글
| AI 윤리 심층 진단 OpenAI GPT 개인정보 유출, 닥터 브랜든의 대응 보고서 (5) | 2025.05.27 |
|---|---|
| GPT 사용자는 필독! 닥터 브랜든이 밝히는 AI 할루시네이션과 감정 왜곡의 진실 (0) | 2025.05.27 |
| AI 시대, 감정을 잃어가는 우리: '심장 뛰는' AI 윤리, 닥터 브랜든의 해답은? (0) | 2025.05.26 |
| AI 영화 속 '진짜 눈물': 닥터 브랜든의 AI 윤리 심층 분석 (미디어와 감정) (6) | 2025.05.23 |
| '민주주의 최후의 보루'와 AI 윤리 : 닥터 브랜든이 추모하는 故 노무현 대통령 (2) | 2025.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