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Digital Textbook Controversy: "Education Ethics" and State Responsibility Hidden Behind "Adoption Rates" (Dr. Brandon's Declaration)
AI 디지털 교과서, 우리는 준비되어 있는가?
1. 현재 추진 상황과 현실 간의 간극
- 교육부는 AI 디지털교과서를 “학교 자율 도입”이라는 명분으로 추진 중이다.
- 전국 평균 도입률은 약 **30%**에 불과하며, 대구 지역만 98% 도입 배정이라는 특이한 구조.
- 그러나 실제 사용률은 전국적으로 초·중·고 평균 6.8~7.3% 수준, 고등학교조차 7.3%에 못 미친다.
- “도입률”만 강조하고, “실제 체감 사용률”은 외면하는 구조는 명백한 정책 설계 실패의 결과다.
검증도 없는 기술 도입, 교육 현장에 실험처럼 던져진 AI 교과서.
이것은 자율이라는 이름 뒤에 숨은 국가의 책임 회피 구조이다.
2. 왜 대구만 98%인가 – 불균형 도입의 윤리적 문제
- 대구는 시 전체가 AI 디지털교과서 도입률 98%라는 이례적인 수치를 보인다.
- 하지만 실제 사용률은 6~7%대로 전국 평균과 큰 차이가 없음.
- 이는 지역 간 불균형을 넘어서, 의사결정 권한의 밀실성과 편중에 대한 윤리적 의문을 낳는다.
교육은 단순히 지역 재량의 문제가 아니다.
이는 국민 전체에게 영향을 주는 국가의 책무다.
3. 검증 없는 자율 도입? 그건 방임이다
- 교육부는 반복적으로 “학교장이 선택하도록 했다”는 입장을 고수한다.
- 하지만 이 방식은 실제로는 검증도, 책임도, 안전장치도 없는 구조를 양산하고 있다.
- 자율이라는 단어는 방임의 면죄부가 되어선 안 된다.
AI 기술이 포함된 교과서를 도입하려면, 사전 검증은 국가의 최소 책무다.
기술은 교육 이전에 반드시 윤리적 안전장치와 함께 설계되어야 한다.
4. 학생과 학부모의 디지털 참정권은 존재하는가?
- 디지털 교과서 도입은 결국 학생과 학부모의 일상과 비용에 영향을 미친다.
- 하지만 도입 결정 구조에는 현장 의견 반영 경로가 불분명하거나,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다.
- 기기 구입, 앱 오류, 인터넷비, 구독료 부담은 고스란히 국민이 감당하고 있다.
국민 세금이 투입되고, 교육 결과가 달라지는 문제라면
그 결정에 참여할 권리도 반드시 동반되어야 한다.
5. AI 교과서, 검증된 교육인가?
- 지금까지 AI 디지털 교과서의 실제 교육 콘텐츠 내용에 대한 검증 자료는 거의 없다.
- 어떤 교육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며, 누가 그것을 검수했는가에 대한 정보는 공개되지 않았다.
- 특히 초등학교 저학년일수록 AI가 제공하는 내용을 비판 없이 수용하는 특성 때문에,
내용 편향이나 오류가 그대로 학습될 수 있다.
“아이들은 AI를 배우는 것이 아니라,
AI가 제공한 ‘진실’을 그대로 받아들이게 된다.”
6. 학부모는 무엇을 알고 있는가?
- 대부분의 학부모는 자녀가 어떤 교과서로 무엇을 배우고 있는지 설명받지 못했다.
- 학부모가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도 부족하다.
- 이는 곧 아이들의 감성과 성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콘텐츠를 무방비로 노출시키는 것과 같다.
“디지털 교육은 보호자 없는 일방향 학습으로 전락할 수 있다.”
7. 무비판적 디지털 전환 – 아이들의 감정은 누가 지키는가?
- '전체 흐름'이라며 AI 교과서가 대세라는 말로 무비판적 수용이 확산되고 있다.
- 종이책을 통해 느끼는 손의 감각, 넘김의 리듬, 시각적 집중력, 감정 공감력은 점차 사라지고 있다.
“기술은 도구일 뿐,
감정 없는 교과서는
아이들의 정서 성장에 ‘구멍’을 낼 수 있다.”
8. 투명하지 않은 도입 구조 – 우리는 묻는다
- 왜 검증자료가 없었는가?
- 왜 콘텐츠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는가?
- 왜 일부 지역은 과도하게 몰입되어 있으며,
- 왜 도입 과정에서 교육기업·출판사와의 연계 여부는 공개되지 않는가?
우리는 묻는다.
이 AI 교과서 도입은
정말 교육을 위한 것이었는가,
아니면 누군가의 프로젝트였는가?
우리는 선언한다
“AI 기술이 포함된 교육 정책은 반드시 윤리 기준과 검증 과정을 선행해야 한다.”
“도입률이 아니라, 체감률과 교육격차를 중심으로 판단해야 한다.”
“교육은 실험이 아니다. 학생은 테스트 대상이 아니다.”
Brandon Time – 교육의 윤리는 지금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이 대응보고서는 향후 국제포럼 자료에 공식제출 될 예정입니다. 아울러 전 세계 교육기관과의 연대를 위해 함께 고민할 것입니다.
🎥 출처: Brandon AI 윤리 공식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BrandonAIEthics
Brandon AI Ethics
Brandon AI윤리 Solution Center(BAESC)Brandon AI 윤리솔루션센터 기술은 빠르게 진화하지만, 우리는 그 속도를 따라가기보다 의미를 지켜갑니다. Brandon Ethics는 인공지능 시대의 윤리, 책임, 그리고 신뢰를
www.youtube.com
Brandon Ethics | National Policy Report
Are We Ready for AI Digital Textbooks?
1. The Gap Between Policy and Reality
- The Ministry of Education promotes AI digital textbooks under the premise of "school-level autonomy."
- The national average adoption rate is only 30%, with Daegu alone having a 98% allocation, an anomaly.
- However, the actual usage rate is just 6.8–7.3% acros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with high school usage not exceeding 7.3%.
- Emphasizing “adoption rates” while ignoring “actual usage experience” is a clear policy design failure.
Unverified technology has been tossed into schools like an experiment.
This is a structure of national responsibility evasion, disguised as autonomy.
2. Why Is Daegu at 98%? – Ethical Issues of Imbalanced Implementation
- Daegu shows a rare 98% adoption rate, city-wide.
- Yet, the actual usage is only 6–7%, which is similar to the national average.
- This raises questions about closed-door decision-making and concentrated authority, beyond just regional imbalance.
Education is not a matter of local discretion.
It is a national obligation that affects all citizens.
3. Autonomy Without Verification? That’s Negligence
- The Ministry insists on a school principal’s authority to choose.
- In practice, this generates a system with no verification, no responsibility, no safeguards.
- “Autonomy” must not become a license for abandonment.
Introducing AI-powered textbooks requires prior verification as a minimum national duty.
Technology in education must first be accompanied by ethical safety mechanisms.
4. Do Students and Parents Have Digital Voting Rights?
- Implementing digital textbooks affects students’ and families’ daily lives and financial burdens.
- But decision-making lacks transparent processes and often excludes input from actual stakeholders.
- Device purchases, app errors, internet fees, and subscription costs are borne entirely by citizens.
When national taxes fund a program and its results reshape education,
decision-making rights must be equally guaranteed.
5. Are AI Textbooks Verified Educational Content?
- So far, there is almost no public data verifying the content inside AI digital textbooks.
- What is being taught and who reviewed it? There is no available information.
- Especially for lower grade students, the tendency to accept content without criticism means that errors or biases can be absorbed unfiltered.
“Children are not learning AI;
they are absorbing the ‘truth’ as presented by AI.”
6. Do Parents Know What Their Children Are Learning?
- Most parents have not been informed of what their children are learning via AI textbooks.
- Systems for parental review are either lacking or nonexistent.
- This results in exposing young learners to unreviewed content, affecting emotional and cognitive development.
“Digital education risks becoming unidirectional learning without guardianship.”
7. Uncritical Digital Transition – Who Protects Children’s Emotions?
- “It’s the trend” – this phrase is used to justify uncritical adoption of AI textbooks.
- But sensory experiences like touching paper, flipping pages, visual focus, emotional connection are being lost.
“Technology is only a tool.
A textbook without emotion
can leave a hole in a child’s emotional development.”
8. Nontransparent Policy – We Ask:
- Why is there no verification data?
- Why is the content not disclosed?
- Why is one region so heavily invested?
- Why is there no transpare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cy and AI content developers?
We ask:
Was this AI textbook truly for education,
or just someone’s project?
We Declare:
“Any education policy involving AI must begin with ethical standards and verification.”
“Do not judge by adoption rates alone. Consider usage, educational gaps, and learner experience.”
“Education is not an experiment. Students are not test subjects.”
Brandon Time – The Ethics of Education Must Begin Now.
This response report will be formally submitted as reference material for future international forums.
In addition, we will continue to engage in collaborative dialogue with educational institutions worldwide to address these concerns together.
본 콘텐츠는 Brandon Ethics 프로젝트의 일부로,
CC BY-NC-ND 4.0 국제 라이선스를 따릅니다.
ⓒ 2025 Brandon Ethics. All rights reserved.
공유는 출처표시 시 허용되며, 상업적 이용 및 2차 수정은 금지됩니다.
'닥터 브랜든 모드 진료실 > AI윤리 심층 진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리는 생존의 조건': AI 시대, '감정의 붕괴'를 막을 최후의 연대는? (닥터 브랜든) (2) | 2025.05.18 |
---|---|
5.18 광주민주화운동: '진실의 마지막 방어막', AI 윤리 시대의 '기록 윤리' (닥터 브랜든) (2) | 2025.05.18 |
로맨스 스캠·투자 사기, AI 시대 새로운 알림음 주의보! 닥터 브랜든 진단. (0) | 2025.05.18 |
닥터 브랜든의 'GPT 보안 보고서': 실시간 AI 대화, 지금 당장 '점검'하라! (2) | 2025.05.18 |
AI 윤리 전문가의 경고: '동의 없는 침묵', 플랫폼의 '감정 검열'과 디지털 주권! (0) | 2025.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