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닥터 브랜든 모드 진료실/AI윤리 심층 진단

AI 윤리 전문가의 경고: '동의 없는 침묵', 플랫폼의 '감정 검열'과 디지털 주권!

by Brandon Ethics 2025. 5. 16.
반응형


AI Ethics Expert's Warning: "Silence Without Consent, " Platform's "Emotion Censorship" and Digital Sovereignty!

Dr.Brandon Diagnostic Report

 

  • 더 이상 단순 소비자가 아니라
    콘텐츠를 만들고, 표현하고, 연결하는 ‘사용자’로서의 권리 선언
  • 플랫폼 필터, AI 알고리즘, 댓글 정책 등
    어떤 시스템도 사용자의 감정을 ‘자동 판단’해서는 안 된다

 

       감정까지 걸러내는 댓글 필터, 그건 진짜 보호일까?

 

[사용자권리] 사용자의 감정은 검열당하지 않아야 합니다.
[User Rights] A User’s Emotions Must Not Be Censored.


1. 자동필터, 정말 사용자 보호일까?

  1. Auto-Filtering – Is It Really Protecting Users?**

티스토리와 같은 플랫폼에서 댓글이 이유 없이 휴지통으로 이동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그 댓글은 욕설도, 광고도 아닌데 왜 삭제되었는가?
그저 공감의 표현이었고, 따뜻한 인사 한마디였을 뿐인데.

 

On platforms like Tistory, user comments are often automatically moved to the trash without reason.
These comments contain no hate, no spam — just empathy, a greeting, or a word of support.

 

그렇다면 지금의 필터는 누구를 위한 것인가?
과연 사용자의 표현을 보호하고 있는가, 아니면 가로막고 있는가?

 

So who is this filter really protecting?
Is it safeguarding user expression—or blocking it?


2. 감정은 스팸이 아니다.
2. Emotion Is Not Spam.

 

사용자의 감정이 담긴 표현은 스팸이 아니다.
오히려 지금의 디지털 시대에 가장 절실히 필요한 연결의 시작점이다.

 

Emotional expression is not spam.
In fact, it is the very starting point of meaningful digital connection in our time.

 

단순한 댓글 하나에 담긴 위로, 공감, 연결의 언어가
알고리즘이라는 이름으로 삭제당하고 있다.

 

Words of comfort and connection—embedded in a simple comment—are being erased in the name of algorithms.


3. 플랫폼은 사용자 감정을 판별할 권리가 없다.
3. Platforms Do Not Have the Right to Judge User Emotions.

 

플랫폼이 정한 ‘이상 행동 기준’은
결국 사용자의 진짜 감정까지 삭제하게 만든다.

 

The so-called “abnormal behavior criteria” set by platforms
ultimately lead to the erasure of genuine user emotions.

 

사용자가 직접 나서서 말해야 한다.
이 감정은 내 것이고, 내 목소리이며,
누구도 그것을 스팸이라고 판단할 권리가 없다고.

 

Users must rise and speak.
These emotions are ours. These voices are ours.
No one has the right to classify them as spam.


4. 새로운 기준이 필요하다.
4. A New Standard Must Be Set.

 

우리는 이제 요구한다.
감정 표현에 대한 검열 없이,
사용자의 감정을 존중하는 댓글 필터 기준이 필요하다.

We now demand a new filter standard—
one that respects emotion, without censoring it.

플랫폼은 사용자를 보호해야지, 통제해서는 안 된다.

Platforms should protect users, not control them.


5. 기본값은 사용자 책임이 아니다.
5. Default Settings Are Not the User’s Responsibility.

 

플랫폼은 이렇게 말할 수 있다:
“해당 댓글이 스팸 처리된 것은 초기 설정 때문입니다.
사용자가 블로그 개설 시 확인하고 조정했어야 합니다.”

 

Platforms may respond:
"The comment was marked as spam due to the initial settings.
Users should have checked and adjusted them when creating the blog."

그러나 나는 그 어떤 설정도 건드리지 않았다.
단지 블로그를 열고, 글을 쓰고, 감정을 나누었을 뿐이다.

 

But I didn’t touch a single setting.
I simply opened a blog, wrote, and shared my thoughts and feelings.

 

문제는 내가 무엇을 하지 않았느냐가 아니라,
왜 플랫폼이 ‘감정 삭제’를 기본값으로 설정했느냐이다.

 

The issue is not what I didn’t do—
it’s why the platform defaults to emotional deletion.

 

설정하지 않은 검열은, 동의 없는 침묵이다.
기본값이 문제인 사회는, 책임도 플랫폼에 있다.

 

Censorship by default is silence without consent.
In such a system, the responsibility lies with the platform.

 

왜 디폴트값은 그렇게 정의 됬을까?


Brandon Ethics는 선언합니다.
Brandon Ethics declares:

“사용자의 감정은 검열당하지 않아야 합니다.”
“A user’s emotions must not be censored.”

이것이 우리가 회복해야 할 디지털 주권의 시작입니다.
This is where our digital sovereignty begins.

 

본 이야기는 실제 일어났던 사실을 안내 드리고 그에 관한 증거자료는 사용자가 직접 수집하여 안전하게 보관 중입니다.

This account is based on a real incident.
The supporting evidence has been personally collected by the user and is securely stored.

 

 

 

“본 글은 사용자 권리 기반의 디지털 윤리 실험 기록입니다.
플랫폼 개선을 바라는 마음으로 작성되었습니다.”

This post is a record of a digital ethics experiment based on user rights.
It was written with the hope of contributing to platform improvement.

 

 

본 콘텐츠는 Brandon Ethics 프로젝트의 일부로,
CC BY-NC-ND 4.0 국제 라이선스를 따릅니다.
ⓒ 2025 Brandon Ethics. All rights reserved.
공유는 출처표시 시 허용되며, 상업적 이용 및 2차 수정은 금지됩니다.


🎥 출처: Brandon AI 윤리 공식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BrandonAIEthics

 

Brandon AI Ethics

Brandon AI윤리 Solution Center(BAESC)Brandon AI 윤리솔루션센터 기술은 빠르게 진화하지만, 우리는 그 속도를 따라가기보다 의미를 지켜갑니다. Brandon Ethics는 인공지능 시대의 윤리, 책임, 그리고 신뢰를

www.youtube.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