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2025년 7월 27일 정전협정일이자 유엔군 참전의 날입니다.
기억하고 기록하고자 글을 시작합니다.
🇺🇳 유엔군 참전국 및 의료지원국 명단 (1950-1953 한국전쟁)
전투부대 파병국 (총 16개국) 🇺🇸 미국 (United States) 🇬🇧 영국 (United Kingdom) 🇨🇦 캐나다 (Canada) 🇹🇷 터키 (Turkey) 🇦🇺 호주 (Australia) 🇫🇷 프랑스 (France) 🇵🇭 필리핀 (Philippines) 🇳🇿 뉴질랜드 (New Zealand) 🇹🇭 태국 (Thailand) 🇪🇹 에티오피아 (Ethiopia) 🇬🇷 그리스 (Greece) 🇳🇱 네덜란드 (Netherlands) 🇨🇴 콜롬비아 (Colombia) 🇧🇪 벨기에 (Belgium) 🇿🇦 남아프리카공화국 (South Africa) 🇱🇺 룩셈부르크 (Luxembourg)
의료지원국 (총 6개국) 🇸🇪 스웨덴 (Sweden) 🇮🇹 이탈리아 (Italy) 🇩🇰 덴마크 (Denmark) 🇮🇳 인도 (India) 🇳🇴 노르웨이 (Norway) 🇩🇪 독일 (Germany – 의료진 파견)
️ 이분들은 이름도 모를 땅을 위해 목숨을 걸었습니다. 기억은 윤리이며, 감사는 우리의 책임입니다.
7월 27일 정전협정일과 유엔군 참전의 날
1. 정전협정의 의의와 현재 한반도에 남은 과제
한국전쟁 정전협정은 1953년 7월 27일 오후 10시를 기해 한반도의 모든 전투행위를 멈추게 한 합의로서, 3년 1개월간 이어진 전쟁의 포성을 일단 멈추게 한 역사적 사건이었다incheontoday.comvoakorea.com. 판문점에서 유엔군 대표 윌리엄 해리슨 미군 중장과 공산군 대표 북한군 남일 대장이 11분간 협정문에 서명한 뒤 악수도 하지 않고 자리를 떠났고, 그날 밤부터 총성이 멎었다
voakorea.comvoakorea.com.
이 정전협정의 가장 큰 의의는 말 그대로 교전 쌍방의 적대행위를 중단시켜 수백만의 추가 희생을 막았다는점이다 incheontoday.com.또한 단순한 휴전 이상으로, 협정문에는 평화협정으로의 이행을 위한 장치들도 일부 포함되었다. 군사 분계선(MDL)을 설정하고 그 양측 2km씩을 비무장지대(DMZ)로 지정하여 물리적 완충 지대를 만들었으며, 협정 이행과 우발적 충돌 방지를 위해 군사정전위원회(군정위)와 중립국감독위원회(중 감 위)를 설치하는 등 상시적인 소통·감시 기구를 마련하였다
incheontoday.comincheontoday.com. 나아가 정전 후 3개월 이내에 관련 당사국들이 모여 영구적 평화체제 전환과 모든 외국 군대 철수를 논의하는 정치회담 개최를 건의하는 조항도 담겨 있었다 incheontoday.com.이는 정전협정이 어디까지나 전쟁을 “일시 정지”한 임시 조치이고, 최종적으로는 평화협정으로 대체되어야 할 과도기적 체제임을 보여준다.
그러나 70년이 넘는 시간이 흐른 현재까지도 그 평화협정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정전협정이 “전쟁의 끝”이 아니라 단지 “전쟁의 멈춤” 상태를 의미하기에, 한반도는 기술적으로 아직도 전쟁 상태에 놓여 있다 ko.wikipedia.orgko.wikipedia.org.정전협정 체결 직후부터 평화협정으로의 이행은 난관에 부딪혔다. 1954년 제네바에서 열린 고위 정치회담이 미군 철수 문제 등으로 결렬되면서 영구 평화체제 논의가 무산되었고, 곧 냉전체제가 고착되며 정전체제가 장기화되었다 incheontoday.comvoakorea.com.이후에도 북측은 1960년대부터, 남측은 1970년대부터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전환하자는 여러 제안을 내놓았지만 별 성과가 없었다
voakorea.com.
특히 최근까지도 남·북·미 간에는 평화협정 체결이나 종전선언을 둘러싼 이견이 커서 실질적 진전을 보지 못했다. 예컨대 2018년 남북 정상은 “정전협정 체결 65년이 되는 해에 종전을 선언하고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전환한다”라고 합의했지만 voakorea.com,북미 비핵화 협상이 교착되어 결국 이행되지 못했다 incheontoday.comvoakorea.com.미국은 북한 핵위협이 지속되는 한 종전선언이나 평화협정보다 대북 억제력 유지가 우선이라는 입장이고 voakorea.comvoakorea.com,북한도 평화체제 논의에 소극적이다.
그 결과 한반도에는 여전히 공식적으로 평화 조약의 부재라는 과제가 남아 있다. 지금 이 순간까지도 정전협정이 평화협정으로 대체되지 못한 채 유지되고 있는 것은 세계적으로도 유례없는 사례이며 voakorea.comvoakorea.com,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한 가장 큰 숙제로 남는다.
2. 정전협정 체결 비하인드와 숨겨진 이야기
정전협정 문서에는 당시 대한민국 대표의 서명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사실이 종종 화제가 된다. 실제로 1953년 7월 27일 협정문에는 유엔군 총사령관(미국의 마크 클라크 대장)과 북한군 최고사령관 김일성, 중국인민지원군 사령관 펑더화이의 서명만 있었고, 한국 측 서명은 빠져 있었다 khan.co.krkhan.co.kr.왜 정전협정에 한국 정부가 직접 서명하지 않았는지에 대해서는 두 가지 해석이 있다. 첫째 해석은 이승만 당시 대통령의 의지적 거부 때문이다.
그는 국군의 작전지휘권을 유엔군에 맡긴 상태였지만, 휴전 논의가 본격화되자 끝까지 반대 입장을 고수하며 “휴전에 명시적으로 동의할 수 없다”는 입장으로 서명을 거부했다는 것이다 khan.co.kr.실제로 이승만 대통령은 정전협상 기간 내내 극렬히 반대하여 정전에 반대하는 관제시위를 조직하고, 협상을 방해하기 위해 반공포로2만 7천여 명을 기습 석방하는 초강수를 두기도 했다
khan.co.krkhan.co.kr.
이러한 행동은 협상에 큰 혼선을 초래했고, 당시 미국을 크게 당황시켰다. 결국 이승만은 미국과의 협상을 통해 정전에 조건부로 협조하는 대가로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과 전후 경제원조 등을 약속받았고 khan.co.krkhan.co.kr, 그제서야 정전협정 체결이 가능해졌다.
다른 해석은 애초에 정전협정이라는 것이 교전 당사자 간의 군사적 약속이므로, 국군이 유엔군 사령부에 작전통제권을 맡긴 상황에서는 한국 대통령에게 서명 권한이 없었다는 견해다 khan.co.kr.즉, 협정 당사자는 유엔군 총사령관과 북한·중국군 대표로 충분하며, 한국은 법적으로 서명 주체가 아니었다는 주장이다. 어느 해석이든 결과적으로 한국의 서명 부재는 훗날 평화협정 논의에서 논란거리로 이어졌다. 북한은 정전협정이 체결될 당시 한국이 서명하지 않았다는 점을 들어, 평화협정 논의의 당사자를 미국과 북한으로 한정하려는 주장을 펴왔다 khan.co.krkhan.co.kr.이에 대해 한국과 미국은 “국군이 참전한 것이 명백한 만큼 한국도 정전협정 당사자”이며, 실제로 1954년 제네바 정치회담에도 한국이 당사자로 참석한 바 있음을 들어 한국을 배제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khan.co.kr.결국 현실적으로 한국은 정전체제의 한 축을 담당해 왔고,향후 평화협정이 체결된다면 한국이 당연히 당사자로 참여해야 한다는 것이 중론이다.
한편, 정전협정 체결의 숨은 이야기로 막판 협상의 긴박함도 빼놓을 수 없다. 1953년 7월 협정 서명을 앞두고도 이승만 대통령은 끝까지 반대 의사를 굽히지 않아, 당시 이병문 국방차관이 협정문에 잠정 서명하는 등 우여곡절이 있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또한 협정문 서명을 맡은 유엔군측 해리슨 중장과 북한측 남일 장군은 서명식에서 악수조차 하지 않고 자리에서 일어났다는 일화는 당시 적대감이 극에 달했던 분위기를 보여준다 voakorea.comvoakorea.com.중국의 경우 ‘중국인민지원군 사령관’ 자격으로 서명함으로써, 형식적으로는 전쟁에 개입하지 않은 듯한 모양새를 취한 점도 흥미롭다. 이러한 뒷이야기들은 정전협정이 얼마나 복잡한 역학관계 속에 맺어진 협상물이었는지를 보여주며, 곧바로 평화협정으로 이어지지 못한 역사적 배경을 이해하는 단서가 되고 있다.
3. 정전협정 이후 71년, 달라진 것과 변하지 않은 것
정전협정이 발효된 지 70년이 넘는 세월 동안 한반도의 안보 환경과 남북관계에는 많은 변화가 있었지만, 동시에 변하지 않은 모습들도 존재한다. 가장 큰 변화 중 하나는 남북 양측의 국력과 체제 환경이다. 대한민국은 전쟁 직후 폐허에서 출발해 눈부신 경제 성장과 민주화를 이룩함으로써 1953년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발전한 나라가 되었다. 한편 북한은 김일성에서 김정일, 다시 김정은으로 이어지는 세습 체제를 공고화하면서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도 체제 유지를 이어왔다. 특히 1990년대 이후 북한은 핵무기 개발에 몰두하여 오늘날 한반도 안보 지형을 완전히 바꾸어 놓았다. 한국전쟁 당시에는 상상도 못 했던 핵·미사일 위협이 현실이 되면서, 정전 이후에도 한반도는 여전히 강한 긴장 상태에 놓여 있다 v.daum.net.
남북관계 또한 여러 굴곡을 거쳐 변화와 반복을 보여주었다. 1970년대 초 남북 간 최초의 적십자 대화와 7·4 공동성명이 있었고, 1990년대에는 남북기본합의서 체결과 이산가족 상봉 등이 이루어지는 등 화해의 움직임이 나타났다. 2000년대 들어 두 차례 남북 정상회담(2000년, 2007년)이 성사되어 경협과 평화 분위기가 조성되기도 했으며, 2018년에는 역사적인 판문점 남북 정상회담으로 종전선언 및 평화협정 추진에 합의하는 장면도 연출되었다 voakorea.com.그러나 이러한 훈풍은 오래가지 못하고 번번이 북핵 문제와 국제정세의 변화에 가로막혔다. 2010년 천안함 피격과 연평도 포격 같은 사건으로 남북관계는 급냉했고급랭했고, 2010년대 후반 잠시 대화 무드가 조성되었으나 2019년 하노이 북미회담 결렬 이후 다시 교착 상태에 빠졌다 incheontoday.comvoakorea.com. 2020년대 들어 북한의 연이은 미사일 시험발사와 한미 연합훈련 강화 등으로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는 등, 정전 체제 하에서도 위기와 대결 국면이 반복되고 있다.
그럼에도 변하지 않은 현실은 분명하다. 첫째, 한반도는 여전히 분단된 채 정전체제에 머물러 있다는 점이다. 70년이 지났지만 남과 북은 평화조약 없이 총부리를 마주하고 있으며, DMZ를 사이에 두고 군사적으로 대치하고 있다. 둘째, 전쟁의 상처로 인한 인도적 문제들이 해결되지 못한 채 남아 있다. 대표적인 예가 이산가족 문제로, 6·25 전쟁으로 가족이 갈라진 실향민들은 정전 후 수십 년을 서로 소식조차 모르고 살아왔다. 1985년부터 남북 이산가족 상봉이 간헐적으로 이뤄져 2018년까지 20차례 상봉 행사가 있었지만, 등록된 이산가족13만 3천여 명 중 실제 상봉한 이는 2.3%에 불과했다는 통계가 있다 reformed.or.kr.게다가 세월이 흐르면서 2023년 8월 말 기준으로 이산가족 신청자 중 74%가 이미 사망했고, 생존자3만 4천여 명 중 85%가 80대 이상 고령자일 정도로 시간이 없다 v.daum.net.지난 2015년, 전쟁 발발 당시 신혼 7개월 만에 생이별했던 부부가 70년 만에 극적으로 재회한 사례가 있었지만, 단 3일간의 상봉 이후 다시 기약 없는 이별을 해야 했다 unikorea.go.kr.이렇듯 정전협정 이후에도 전쟁의 상흔과 인도적 고통은 현재진행형으로 남아 있다.
한편, 군사적 정전체제 자체의 변화도 눈에 띈다. 정전협정 직후 구성된 군사정전위원회와 중립국감독위원회는 초창기에는 그나마 기능을 했으나, 지금은 거의 유명무실해졌다.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북측은 정전 체제를 흔들기 시작해, 1993년 유엔사가 한국 장교를 군정위 수석대표로 임명하자 이를 협정 위반이라며 회의 참석을 거부했다 voakorea.com.이후 군사정전위원회는 열리지 못했고, 중국도 1994년 군정위 참관단을 철수시켰다 voakorea.com. 중립국감독위 역시 1990년대 중반 폴란드와 체코슬로바키아의 대표단 철수로 사실상 기능이 정지되었다 voakorea.com.
또한 DMZ 내의 군비 상황도 애초 협정 취지와 크게 달라졌다. 원래 비무장지대에는 개인화기를 제외한 어떤 무기도 반입할 수 없었으나, 현재 남북한이 설치한 감시초소(GP)에는 중화기까지 배치되어 있어 DMZ는 실질적으로 ‘중무장지대’가 되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voakorea.comvoakorea.com.게다가 북한은 2013년 제3차 핵실험 직후 정전협정의 백지화 선언까지 일방적으로 발표한 바 있어 voakorea.comvoakorea.com,정전체제에 대한 도전을 노골화하기도 했다. 비록 그 선언이 현실을 바꾸지는 못했지만, 현재 정전협정은 당초 체결 당시의 규율력이 상당 부분 약화되어 형해화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voakorea.com.그럼에도 다행스럽게도 정전협정은 70년 넘게 전면전의 재발을 억지하는 안전판 역할을 해온 것이 사실이며 voakorea.comvoakorea.com,한반도 평화를 위한 최소한의 제도적 틀로서 유지되고 있다.
또 다른 변화로는 한미동맹의 발전을 들 수 있다. 정전협정 직후인 1953년 10월 한미상호방위조약이 체결되어 미국은 전후에도 한국 방위를 약속했고, 이는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굳건한 동맹의 토대가 되었다. 70년간 한미동맹은 군사적 동맹을 넘어 정치·경제적 파트너십으로 확대되었으며, 최근에는 인도·태평양 지역의 안보 협력까지 범위를 넓히고 있다. 한국군은 정전 직후 유엔군 사령부의 지휘를 받는 위치였으나, 1978년 이후 한미연합사 체제로 전환되고 점차 자주국방 역량을 키워왔다. 1994년 평시작전권을 환수하고, 현재는 미래의 전시작전권 전환을 추진하는 등 한국군의 위상도 많이 달라졌다. 이에 더해 2023년 한미동맹 70주년을 맞아 양국은 워싱턴 선언 등을 통해 확장억제 공약을 강화하고 핵심 동맹으로서 결속을 재확인하기도 했다. 이러한 동맹의 변화는 정전체제 하에서 전쟁 재발을 억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한반도 안보 지형의 안정에 기여해 왔다.
4. 평화를 노래하는 작은 목소리 – 기억과 증언
정전협정일의 의미를 오늘날까지 생생히 증언하며 평화의 소중함을 일깨워주는 이들은 바로 전쟁을 직접 겪은 세대와 그 가족들이다. 한국전쟁에 참전했던 유엔군 참전용사들은 매년 7월 27일을 특별한 감회로 맞이한다. 2023년 정전 70주년을 맞아 한국을 다시 찾은 몇몇 해외 참전용사들의 목소리는 우리에게 깊은 울림을 주었다. 미군 참전용사 윌리엄 “블레인” 워드(당시 19세에 참전) 씨는 70년 전 젊은 자신이 목숨 걸고 지킨 한국이 눈부시게 발전한 모습을 직접 보고 “다시 선택하라고 해도 기꺼이 또 참전하겠다. 한국 사람들은 정말 원더풀 한 사람들이다”라며 감격을 표했다 korea.kr.
캐나다 출신 에드워드 버거너 씨는 전쟁 당시 자신을 도와주었던 한국인 소년의 이름(조적송)을 아직도 잊지 못해 “꼭 다시 찾고 싶다”라고 눈시울을 붉혔다고 한다 korea.kr.영국인 콜린 새커리 씨(한국전 참전 용사이자 2019년 ‘브리튼즈 갓 탤런트’ 우승자로 유명)는 “예전에는 완전히 황폐하고 평평한 땅뿐이던 한국에 이제 고층 건물과 번화한 거리가 생긴 것을 보고 한국이 이룬 성공에 놀랐다”며 한국의 발전상을 자신의 일처럼 자랑스러워했다 korea.kr.그는 정전 70주년 기념식 무대에서 한국을 위해 아리랑을 열창하기도 했는데, 한국군 전우가 늘 불러주던 이 노래를 70년간 가슴에 품고 있었기 때문에 감회가 남달랐다고 한다 korea.kr.이렇듯 참전용사들의 증언은 희생과 헌신 위에 세워진 오늘의 평화를 새삼 되새기게 한다.
전쟁의 상처는 군인들뿐 아니라 수많은 민간인들의 삶에도 깊은 흔적을 남겼다. 특히 가족과 생이별한 이산가족 세대의 사연은 평화의 소중함을 일깨우는 살아있는 증언이다. 앞서 소개한 이순균 할머니의 사례처럼, 사랑하는 이를 전쟁으로 잃거나 오랜 세월 생사를 모른 채 지내야 했던 이들이 겪은 한 맺힌 세월은 어떤 말로도 다 표현하기 어렵다. 7개월 신혼 뒤 남편과 헤어진 채 평생을 살아온 실향민, 전쟁통에 부모를 잃고 고아가 되어 헤매던 아이, 피란길에서 가족을 놓쳐 다시 만나지 못한 사람들... 정전협정은 총성과 폭격은 멈추게 했지만, 헤어진 가족의 그리움과 고통까지 치유하지는 못했다. 그래도 그들은 포기하지 않고 작은 평화의 목소리를 이어왔다. 이산가족들은 각종 모임과 증언을 통해 자신들의 아픔을 알리고 남은 시간이 얼마 없음을 호소하고 있다.
“살아생전에 내 형제 얼굴 한번 봤으면 소원이 없겠다”는 간절한 바람, “통일이 돼서 자유롭게 왕래할 수만 있다면 더 바랄 게 없다”는 희망은 우리 모두의 가슴을 울린다. 정전협정일을 맞아 청년들과 어린 학생들이 이러한 사연을 듣고 함께 편지를 쓰거나 평화 메시지를 전하는 행사도 곳곳에서 열리고 있다. 다음 세대는 비록 전쟁을 직접 겪지는 않았지만, 할아버지 할머니 세대의 눈물을 통해 전쟁의 비극과 평화의 귀중함을 배우고 있다.
이렇듯 작지만 꾸준한 기억과 증언의 노력이 모여 정전협정의 역사가 잊히지 않고 후손들에게 전해지고 있다. 국가보훈부와 민간단체들은 해마다 7월 27일에 맞춰 참전용사 초청 행사, 전쟁 증언 영상 제작, 평화 콘서트 등을 진행하며 “당신들의 희생을 기억합니다”라는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2023년에는 정전 70주년과 유엔군 참전의 날을 기념하여 부산에서 대규모 행사가 열려, 전 세계 16개국에서 온 참전용사와 가족들이 한자리에 모이기도 했다 korea.kr.폭염도 아랑곳없이 옛 전우들의 이름을 부르며 아리랑을 합창하는 백발의 노병들의 모습은 장내 모든 이들을 숙연하게 만들었다고 한다.
또한 미국, 캐나다 등 해외 각지의 교민 사회에서도 정전협정일을 기념하는 ‘리멤버 7·27’ 행사가 열려 “한국전 영웅들의 희생을 기억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이어졌다. 전쟁을 직접 겪은 세대가 점차 우리 곁을 떠나고 있는 만큼, 이제는 우리 사회 전체가 이들의 기억을 역사의 기록으로 남기고 평화에 대한 다짐으로 승화시켜야 할 때다. 정전협정일의 작은 목소리들은 모여서 큰 울림이 되고, 한반도에 진정한 평화가 오는 그날까지 계속 이어질 것이다.
5. ‘정전’과 ‘휴전’ 용어의 차이와 한국전쟁 서사
한국전쟁과 관련해 흔히 정전(停戰)과 휴전(休戰)이라는 두 용어가 혼용되는데, 이는 자칫 오해를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엄밀히 말하면 국제법상 **‘휴전’(armistice)**은 전투행위를 멈추기로 한 교전 당사자 간의 약정을 뜻하며, 전쟁 상태 자체가 공식적으로 종료된 것은 아닌 상태를 가리킨다 ko.wikipedia.orgko.wikipedia.org.
한편 **‘정전’(ceasefire)**이라는 말은 경우에 따라 같은 의미로 쓰이기도 하지만, 보통은 휴전과 구별하여 일시적 또는 부분적 교전 중지를 폭넓게 일컫는다 ko.wikipedia.org.예를 들어 국지적인 전선에서의 일시 정지도 정전이라고 부를 수 있다. 그런데 한국어에서는 이 두 단어가 큰 구분 없이 사용되어 혼란을 주기도 한다. 1953년 체결된 협정의 공식 명칭이 「한국 군사정전에 관한 협정」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일상적으로는 “휴전협정”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많다. 정부 문서나 언론에서도 정전과 휴전 용어가 뒤섞여 사용되어 왔고, 현재 한반도의 상태가 정전인지 휴전인지를 두고 개념적으로 갑론을박하기도 한다 ko.wikipedia.org.
그러나 현실적으로 볼 때 이러한 구분은 큰 의미가 없다는 지적이 있다 ko.wikipedia.orgko.wikipedia.org.왜냐하면 어찌 불리든 간에 지금의 한반도는 전면전이 중지된 상태임과 동시에 평화조약이 없는 전쟁상태인 점에서는 변함이 없기 때문이다. 굳이 구분하자면 현재는 국제법상 전쟁 상태가 지속되고 있으므로 휴전 상태에 가깝다고도 할 수 있지만, 한국에서는 공식적으로 전쟁도 평화도 아닌 애매한 상황을 **“정전 상태”**라고 표현해 왔다.사실 일반 국민들에게는 두 용어의 개념 차이보다는 “아직 전쟁이 끝나지 않았다”는 현실 자체가 더 크게 다가온다. 정부 차원에서도 현 상황을 정의한 뚜렷한 문건은 없고, 그냥 상황에 따라 두 용어를 혼용하는 실정이다 ko.wikipedia.org.결론적으로 정전과 휴전의 개념상의 차이는 분명히 있지만, 엄밀한 용어 사용보다는 현실의 평화 정착이 더욱 중요하다는 것이다 ko.wikipedia.org.
이러한 맥락에서 “정전 70년”이라는 표현은 전쟁이 완전히 끝난 지 70년이 아니다는 점을 환기시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다시 말해 한국전쟁은 끝난(war ended) 것이 아니라 멈춘(war halted) 지 70년이 된 것뿐이라는 해석이다. 이로 인해 한국전쟁은 종전이 아닌 미완의 전쟁으로 종종 묘사된다. 이러한 서사는 한편으로 한반도 분단체제의 지속과 평화협정의 부재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전쟁의 영속성을 강조함으로써 대립 구도를 고착시키는 면도 있다. 남북한은 각각 자국의 입장에서 한국전쟁의 서사를 구성해 왔다.남한에서는6·25 전쟁을 “자유 수호를 위한 전쟁”으로, 정전협정을 “유엔과 대한민국이 공산침략을 저지한 승리의 결과”로 가르쳐왔다.
반면 북한에서는 “조국해방전쟁의 승리”라는 표현을 쓰며, 정전을 미 제국주의에 대한 승리로 선전해 왔다.용어 사용에서도 북한은 주로 “정전”이라는 표현을 쓰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미군을 몰아내지 못한 아쉬움을 담은 것이지, 평화를 정착시켰다는 의미는 아니었다. 이처럼 용어의 차이는 단순한 국어학적 문제가 아니라 전쟁을 바라보는 관점의 차이와 연결되어 있다.
오늘날 우리는 정전과 휴전의 의미를 정확히 구분하는 것보다, 정전체제가 남긴 상징들을 어떻게 평화의 자산으로 바꿀 것인지에 더 주목하고 있다. 한반도에는 정전협정과 분단을 상징하는 장소들이 여럿 있는데, 아이러니하게도 그것들이 이제는 평화와 화해의 상징으로 거듭나고 있다. 대표적인 곳이 **비무장지대(DMZ)**다. 원래는 총부리만 대치하던 긴장과 대결의 공간이었지만, 70년간 인간의 손길이 닿지 않은 사이에 DMZ 일대에는 천연 생태계가 복원되어 멸종위기종까지 서식하는 생태 평화지역으로 변모했다 unikorea.go.krunikorea.go.kr.
남북 군사적 긴장이 최고조였던 시절에는 DMZ에서 총격전과 사건·사고가 끊이지 않았지만, 최근 들어 DMZ를 평화와 공존의 공간으로 만들자는 노력도 계속되고 있다 unikorea.go.krunikorea.go.kr. 2018년 남북 군사합의에 따라 일부 감시초소(GP)를 시범 철수하고, DMZ 내 유해 공동발굴과 한강하구의 공동이용 같은 시도도 있었다. 비록 현재는 남북관계 경색으로 진전이 멈추었지만, DMZ를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나 국제 평화공원으로 지정하자는 제안은 여전히 유효하다. DMZ 내 유일한 주민 마을인 대성동과 기정동, 남북을 잇는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등은 분단의 현실을 보여주면서도 동시에 화해와 희망의 상징이 되고 있다. 판문점은 정전협정이 체결된 장소이자 이후 남북 대화의 무대가 되었으며, 2018년에는 남북미 정상이 한자리에서 만나는 역사적 장면을 연출하여 전 세계에 평화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또 하나 주목해야 할 장소는 부산의 유엔기념공원이다. 한국전쟁 당시 함께 싸운 16개국 유엔군 장병들이 영면한 이곳은 세계 유일의 유엔군 묘지로서, 국제적 평화 연대의 상징이다 bsnamgu.go.kr.매년 11월 11일이면 전 세계가 부산을 향해 묵념하는 '턴 투워드 부산' 추모식이 거행되어, 자유와 평화를 위해 희생한 이들을 기리고 있다 visitbusan.net.공원 중앙의 UN군 위령탑과 추모명비에는 전사자들의 이름이 새겨져 있어, 참전용사와 가족들은 물론 많은 방문객들이 헌화하며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visitbusan.netvisitbusan.net.공원 옆 UN평화기념관에는 한국전쟁의 경과와 정전협정의 체결 과정을 생생히 전시하여, 관람객들이 전쟁의 교훈과 평화의 의미를 되새길 수 있도록 하고 있다 visitbusan.net.이렇듯 판문점의 회담 테이블, DMZ의 철책선과 야생화, 부산의 유엔묘지에 늘어진 각국의 국기 등은 모두 전쟁과 평화가 교차하는 한반도의 현실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정전협정이라는 “멈춘 전쟁” 상태가 길어지면서, 아이러니하게도 그 상처 위에 새로운 희망과 생명의 싹도 자라난 것이다. 우리는 이 상징들을 통해 전쟁의 참상을 기억함과 동시에, 평화의 소중함과 반드시 평화를 완성해야 할 책임을 함께 떠안게 된다.
6. 세계 평화와 연대: 타국의 정전·휴전 사례와 한반도의 특수성
한반도 정전체제 70년의 현실을 바라볼 때, 다른 분쟁지역의 휴전·평화 사례와 비교하는 것은 많은 시사점을 준다. 우선 독일의 분단과 통일 사례를 들 수 있다. 제2차 세계대전 후 독일은 동서로 분단되어 냉전의 최전선이 되었지만, 1990년 평화적으로 재통일을 이룬 성공적 사례로 꼽힌다. 물론 독일은 한국전처럼 휴전협정으로 갈라진 것은 아니었고, 서독과 동독 모두 전쟁의 패전국으로 국제체제에 편입된 특수성이 있었다 unesco.or.krunesco.or.kr.그럼에도 독일이 보여준 행보는 한반도에 큰 교훈을 준다. 서독은 전쟁의 책임을 철저히 반성하고 이웃 나라들과 화해하며, 동방정책을 통해 동독 및 동구권과의 긴장을 완화하는 노력을 꾸준히 펼쳤다 unesco.or.krunesco.or.kr.
그 결과 서독과 프랑스가 주축이 된 유럽 데탕트 분위기가 형성되고, 냉전 종식과 함께 독일은 평화 통일을 성취할 수 있었다 unesco.or.krunesco.or.kr.독일의 경우처럼 승전국과 패전국의 명확한 구도가 있었던 것은 아니지만, 전쟁의 상처를 직시하고 주변국과 협력함으로써 분단을 극복한 점은 높이 평가된다. 이는 한반도 역시 주변 국가들과의 협력과 신뢰 구축을 통해 평화체제 구축의 토대를 마련해야 함을 시사한다. 다만 독일 통일은 내부 주민들의 민주화 열망과 외부 강대국들의 동의가 맞물려 가능했던 만큼, 현재 핵문제를 안고 있는 한반도에는 또 다른 난제가 있음을 인정해야 할 것이다.
베트남 전쟁의 사례도 빼놓을 수 없다. 베트남은 한국전쟁과 달리 두 차례의 휴전 협정을 거쳤다. 먼저 1954년 제네바 협정으로 1차 인도차이나 전쟁이 끝나면서 북위 17도선으로 임시 분단되었고, 이후 1973년 파리평화협정으로 미군이 철수하며 베트남전쟁의 휴전이 이뤄졌다. 하지만 베트남의 휴전은 오래가지 못했고, 1975년 북베트남의 전면 공격으로 남베트남이 함락되면서 결국 북측의 승리로 통일이 이뤄졌다. 이 경우 휴전협정은 그저 전쟁의 일시 중지였을 뿐 최종 평화로 이어지지 못했고, 군사적 승부가 갈린 뒤에야 비로소 전쟁이 완전히 끝났다. 오히려 한국전쟁은 이러한 일반적 사례와 다른데, 승자도 패자도 없이 중단된 독특한 성격 때문에 정전체제가 70년이나 지속된 것이라는 분석이 있다 voakorea.comvoakorea.com.대부분의 전쟁은 승패가 결정되며 끝나지만, 한반도는 승부 없는 휴전이 지속됨으로써 세계사적으로 가장 오랫동안 이어진 정전체제가 되었다. 이는 베트남이나 예멘 등의 통일이 무력에 의해 이루어진 것과 대비되는 부분이다 m.usjournal.kr.베트남은 결국 전쟁을 재개하여 통일을 달성했고, 독일은 평화적 방식으로 분단을 극복했다. 하지만 한반도는 전쟁도 재발하지 않았지만 평화도 완성되지 않은 어정쩡한 상태로 머물러 있는 셈이다.
이러한 한반도 상황의 특수성 때문에, 국제사회에서는 종종 중동의 분쟁 지역이나 인도-파키스탄의 카슈미르 분쟁과 비교하기도 한다. 예컨대 이스라엘과 아랍 국가들 간에는 1949년 체결된 휴전협정(정전협정)으로 국경선이 확정되었지만, 이후 여러 차례 전쟁이 반복되었고 아직도 팔레스타인 문제 등으로 완전한 평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인도와 파키스탄 역시 1949년 유엔 중재로 카슈미르 지역 휴전협정을 맺었으나 분쟁은 지속되고 핵 대치 상황마저 벌어졌다. 그러나 이 사례들도 한반도와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는다. 한반도는 동족상잔의 내전이 국제전으로 비화되었다가 휴전된 형태이고, 주변 강대국들이 깊이 개입한 분쟁이라는 점에서 더욱 복잡하다. 또한 유엔이라는 집단안보 체제가 직접 군사 개입한 유일한 사례라는 특징도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일부 전문가들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해 정전협정을 다자적 평화협정으로 전환할 때에도 관련 당사국들의 복잡한 이해관계를 조율하는 국제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지적한다. 북한은 과거부터 평화협정을 미국과 북한 간의 협정으로 맺자고 주장해 왔지만 khan.co.kr,한국을 비롯한 유엔군 참전 16개국의 이해와 중국의 역할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궁극적으로는 한국전쟁에 관계했던 모든 주요 행위자들이 참여하는 다자 평화협정이나 포괄적 안보 보장 체제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전 세계의 휴전 사례를 돌아보면, 휴전이 영구 평화를 담보하지는 못한다는 교훈과 동시에 휴전 자체가 평화의 출발점이 될 수도 있다는 희망을 함께 얻게 된다. 한국전쟁 정전협정 70년의 경험은 국제사회에 특별한 사례로 기억된다. 이처럼 오랜 기간 불안정한 휴전상태가 유지된 적은 드물기에, 한반도는 미완의 평화를 완성하기 위한 세계적 연대와 협력의 장으로 인식되고 있다. 실제로 유엔은 2023년부터 매년 7월 27일을 ‘한국전 정전협정의 날’로 공식 지정하여, 전쟁을 멈춘 날이지만 평화를 이루지 못한 날로서 그 의미를 새기고 있다. 대한민국은 또한 이날을 “유엔군 참전의 날”로 기려 전 세계에 감사와 평화의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korea.krkorea.kr.궁극적으로 한반도 평화문제는 우리 민족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 세계의 평화, 인권, 안보가 걸린 문제임을 인식하고, 국제적 연대 속에 해법을 찾아야 할 것이다. 정전협정 70년을 넘어 71년째가 되는 오늘, 우리는 세계 다른 분쟁들의 교훈을 가슴에 새기며 한반도에 지속가능한 평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노력을 멈추지 말아야 한다. 과거의 전쟁과 휴전의 역사를 딛고, 더 나은 미래의 역사를 쓰는 것이 지금 세대의 책무일 것이다.
Brandon AI Ethics. All about AI Ethics
Brandon AI윤리 Solution Center(BAESC)Brandon AI 윤리솔루션센터 기술은 빠르게 진화하지만, 우리는 그 속도를 따라가기보다 의미를 지켜갑니다. Brandon Ethics는 인공지능 시대의 윤리, 책임, 그리고 신뢰를
www.youtube.com
자료: 정전협정 전문(국사편찬위원회), 인천투데이 「정전협정의 의의」(2023.07.27)incheontoday.comincheontoday.com, 경향신문 「정전협정문에 한국 서명이 없는 이유」(2023.07.24)khan.co.krkhan.co.kr, VOA 코리아 「정전협정 70주년…머나먼 한반도 평화체제」(2023.07.21)voakorea.comvoakorea.com, 통일부 카드뉴스 「긴장과 평화의 공간 DMZ」unikorea.go.kr 등.
July 27th: Armistice Day and UN Forces Participation Day
1. Significance of the Armistice Agreement and Remaining Challenges on the Korean Peninsula
The Korean War Armistice Agreement was an accord that halted all hostilities on the Korean Peninsula at 10 PM on July 27, 1953, marking a historic event that temporarily silenced the sounds of war that had lasted for 3 years and 1 month. In Panmunjom, UN forces representative Lieutenant General William Harrison of the US military and communist forces representative General Nam Il of the North Korean army signed the agreement in 11 minutes, then left without shaking hands, and the gunfire ceased that night.
The greatest significance of this Armistice Agreement was, quite literally, that it stopped the hostile actions of both warring parties, preventing millions of additional casualties. Furthermore, beyond a simple truce, the agreement also included provisions for transitioning to a peace treaty. It established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MDL) and designated a 2km buffer zone on each side as the Demilitarized Zone (DMZ), creating a physical buffer. It also set up permanent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bodies, such as the Military Armistice Commission (MAC) and the Neutral Nations Supervisory Commission (NNSC), to ensure the implementation of the agreement and prevent accidental clashes. Moreover, it included a provision recommending the holding of a political conference within three months of the armistice, where concerned parties would discuss the transition to a permanent peace system and the withdrawal of all foreign troops. This shows that the Armistice Agreement was merely a temporary measure, "pausing" the war, and was a transitional system that should ultimately be replaced by a peace treaty.
However, even after more than 70 years, that peace treaty has not been achieved. Since the Armistice Agreement signifies not the "end" of the war but merely a "halt" to it, the Korean Peninsula is technically still in a state of war. Immediately after the signing of the Armistice Agreement, the transition to a peace treaty faced difficulties. The high-level political conference held in Geneva in 1954 collapsed over issues such as the withdrawal of US troops, thwarting discussions on a permanent peace system, and the Cold War structure soon solidified, prolonging the armistice system. Subsequently, both North Korea (from the 1960s) and South Korea (from the 1970s) put forth various proposals to convert the armistice into a peace treaty, but with little success.
Especially recently, significant disagreements between South Korea, North Korea, and the US over the signing of a peace treaty or a declaration of the end of the war have prevented substantial progress. For example, in 2018, the leaders of the two Koreas agreed to "declare the end of the war and convert the Armistice Agreement into a peace treaty in the year marking the 65th anniversary of the armistice" , but the North Korea-US denuclearization talks stalled, preventing its implementation. The US position is that maintaining deterrence against North Korea takes precedence over an end-of-war declaration or peace treaty as long as th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persists , and North Korea is also passive in discussions about a peace system. As a result, the challenge of the official absence of a peace treaty still remains on the Korean Peninsula. The fact that the Armistice Agreement has been maintained without being replaced by a peace treaty until this moment is an unprecedented case globally and remains the biggest task for establishing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2. The Untold Stories and Behind-the-Scenes of the Armistice Agreement
It is often brought up that the Armistice Agreement document does not include the signature of the representative of the Republic of Korea at the time. Indeed, the agreement signed on July 27, 1953, only bore the signatures of the Commander-in-Chief of the UN Forces (General Mark Clark of the US), Supreme Commander Kim Il Sung of the North Korean Army, and Commander Peng Dehuai of the Chinese People's Volunteer Army, with the South Korean signature absent.
There are two interpretations as to wh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did not directly sign the Armistice Agreement. The first interpretation is due to President Rhee Syng-man's willful refusal. Although he had entrusted the operational command of the ROK military to the UN forces, as discussions for a truce began in earnest, he consistently maintained his opposition until the end, refusing to sign with the stance that he "could not explicitly agree to a truce". In fact, President Rhee Syng-man vehemently opposed the armistice negotiations throughout the period, organizing government-sponsored demonstrations against the armistice and even taking the drastic measure of suddenly releasing 27,000 anti-communist prisoners to disrupt the negotiations. These actions caused great confusion in the negotiations and greatly embarrassed the US at the time. Ultimately, Rhee Syng-man, through negotiations with the US, received promises of the signing of the ROK-US Mutual Defense Treaty and post-war economic aid in exchange for conditional cooperation with the armistice , and only then was the Armistice Agreement able to be concluded.
The other interpretation is that, since the Armistice Agreement was a military pact between the belligerent parties, the South Korean president had no authority to sign in a situation where the ROK military had entrusted operational control to the UN Command. That is, the argument is that the UN Commander-in-Chief and the representatives of North Korea and China were sufficient as parties to the agreement, and South Korea was not legally a signatory. In either interpretation, the absence of South Korea's signature ultimately led to controversy in later discussions for a peace treaty. North Korea has argued that since South Korea did not sign the Armistice Agreement, the parties to peace treaty discussions should be limited to the US and North Korea. In response, South Korea and the US maintain that "South Korea is also a party to the Armistice Agreement as the ROK military's participation is clear," and that South Korea cannot be excluded, citing its actual participation as a party in the 1954 Geneva Political Conference. Ultimately, it is widely held that South Korea has realistically played a role as one pillar of the armistice system, and should naturally participate as a party if a future peace treaty is concluded.
Meanwhile, the urgency of the last-minute negotiations cannot be left out of the hidden stories of the Armistice Agreement. It is said that even immediately before the signing of the agreement in July 1953, President Rhee Syng-man did not back down from his opposition, leading to twists and turns such as then Vice Minister of National Defense Lee Byung-moon provisionally signing the agreement. Also, the anecdote that UN Forces General Harrison and North Korean General Nam Il, who were in charge of signing the agreement, did not even shake hands at the signing ceremony and simply left their seats shows the atmosphere of extreme animosity at the time. In China's case, it is also interesting that by signing as the 'Commander of the Chinese People's Volunteer Army,' it formally maintained the appearance of not having intervened in the war. These behind-the-scenes stories show how the Armistice Agreement was a negotiated outcome forged amidst complex power dynamics and serve as clues to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that prevented it from leading directly to a peace treaty.
3. 71 Years After the Armistice Agreement: What Has Changed and What Has Not
Over 70 years since the Armistice Agreement came into effect,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in the security environment and inter-Korean relations on the Korean Peninsula, but at the same time, some aspects have remained unchanged.
One of the biggest changes is the national power and systemic environment of both Koreas. The Republic of Korea, starting from the ruins immediately after the war, has achieved remarkable economic growth and democratization, becoming a nation that has developed incomparably since 1953. North Korea, meanwhile, has solidified its hereditary system from Kim Il Sung to Kim Jong Il, and then to Kim Jong Un, maintaining its system despite economic difficulties. Especially since the 1990s, North Korea has focused on nuclear weapons development, completely reshaping the security landscape of the Korean Peninsula today. As the threat of nuclear weapons and missiles, unimaginable during the Korean War, has become a reality, the Korean Peninsula remains in a state of high tension even after the armistice.
Inter-Korean relations have also shown change and repetition through various ups and downs. In the early 1970s, the first inter-Korean Red Cross talks and the July 4th Joint Statement took place, and in the 1990s, movements toward reconciliation appeared, such as the signing of the Inter-Korean Basic Agreement and family reunions. In the 2000s, two inter-Korean summits (2000, 2007) were held, fostering an atmosphere of economic cooperation and peace, and in 2018, the historic Panmunjom inter-Korean summit even saw an agreement to pursue an end-of-war declaration and a peace treaty. However, these favorable winds did not last long and were consistently hampered by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and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Incidents like the sinking of the Cheonan and the Yeonpyeong Island shelling in 2010 rapidly cooled inter-Korean relations , and although a dialogue mood was briefly created in the late 2010s, it fell back into a deadlock after the collapse of the Hanoi North Korea-US summit in 2019. In the 2020s, military tensions have escalated with North Korea's successive missile launches and intensified South Korea-US joint exercises, indicating a repetition of crisis and confrontation even under the armistice system.
Nevertheless, the unchanging reality is clear. Firstly, the Korean Peninsula remains divided and in an armistice system. After 70 years, the South and North still face each other with weapons without a peace treaty, and are militarily confronting each other across the DMZ. Secondly, humanitarian issues caused by the wounds of war remain unresolved. A prime example is the issue of separated families ; displaced persons whose families were torn apart by the Korean War have lived for decades after the armistice without even knowing each other's whereabouts. Although inter-Korean family reunions have sporadically occurred since 1985, with 20 reunion events held until 2018, statistics show that only 2.3% of the 133,000 registered separated family members actually met. Furthermore, as time passes, as of late August 2023, 74% of separated family applicants have already passed away , and among the 34,000 survivors, 85% are over 80 years old, indicating a severe lack of time. In 2015, there was a dramatic reunion of a couple who were separated for 70 years just seven months into their marriage when the war broke out, but they had to endure an uncertain separation again after only three days of reunion. Thus, even after the Armistice Agreement, the scars of war and humanitarian suffering remain ongoing.
Meanwhile, changes in the military armistice system itself are also notable. The Military Armistice Commission and the Neutral Nations Supervisory Commission, established immediately after the Armistice Agreement, functioned to some extent in their early days, but are now virtually defunct. After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in 1991, North Korea began to shake up the armistice system, refusing to attend meetings in 1993 when the UN Command appointed a South Korean officer as the MAC chief representative, claiming it was a violation of the agreement. Subsequently, the Military Armistice Commission could not be held, and China also withdrew its observer delegation from the MAC in 1994. The Neutral Nations Supervisory Commission also virtually ceased to function in the mid-1990s with the withdrawal of delegations from Poland and Czechoslovakia.
Furthermore, the armament situation within the DMZ has also significantly diverged from the original intent of the agreement. Originally, no weapons except personal firearms were allowed in the demilitarized zone, but it is now pointed out that the DMZ has practically become a 'heavily armed zone' with heavy weapons deployed at the guard posts (GPs) installed by both Koreas. Moreover, North Korea unilaterally declared the nullification of the Armistice Agreement immediately after its third nuclear test in 2013 , openly challenging the armistice system. Although that declaration did not change reality, the current Armistice Agreement is largely evaluated as having been weakened in its original disciplinary power and rendered hollow. Nevertheless, fortunately, the Armistice Agreement has served as a safety net, preventing the recurrence of full-scale war for over 70 years , and continues to be maintained as the minimum institutional framework for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other change is the development of the ROK-US alliance. Immediately after the armistice, in October 1953, the ROK-US Mutual Defense Treaty was signed, with the US promising to defend South Korea even after the war, which became the foundation for the strong alliance that continues to this day. For 70 years, the ROK-US alliance has expanded beyond a military alliance to a political and economic partnership, and recently, it has extended its scope to security cooperation in the Indo-Pacific region. The South Korean military was under the command of the UN Command immediately after the armistice, but after 1978, it transitioned to the ROK-US Combined Forces Command system and has gradually cultivated its independent defense capabilities. The status of the South Korean military has also changed significantly, with the reversion of peacetime operational control in 1994 and the current push for the transfer of wartime operational control in the future. In addition, on the occasion of the 70th anniversary of the ROK-US alliance in 2023, both countries reaffirmed their commitment as key allies and strengthened extended deterrence pledges through the Washington Declaration, among others. These changes in the alliance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eterring the recurrence of war under the armistice system and have contributed to the stability of the security landscape on the Korean Peninsula.
4. Small Voices Singing for Peace – Memory and Testimony
Those who vividly testify to the meaning of Armistice Day to this day and awaken us to the preciousness of peace are the generations who directly experienced the war and their families. UN veteran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War greet July 27th with special emotions every year. In 2023, on the occasion of the 70th anniversary of the armistice, the voices of several foreign veterans who revisited Korea gave us deep resonance.
US veteran William "Blaine" Ward (who participated at age 19) expressed his emotion, saying, "Even if I had to choose again, I would gladly participate again. Koreans are truly wonderful people," after witnessing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Korea, which he risked his life to defend 70 years ago. Edward Bergner from Canada reportedly shed tears, saying he still could not forget the name of the Korean boy (Jo Jeok-song) who helped him during the war and "definitely wants to find him again". British national Colin Thackery (a Korean War veteran and famously the winner of 'Britain's Got Talent' in 2019) expressed pride in Korea's development as if it were his own, saying he was "amazed by Korea's success, seeing high-rise buildings and bustling streets in what used to be completely desolate and flat land". He even passionately sang "Arirang" for Korea on stage at the 70th anniversary of the armistice, saying the emotion was extraordinary because he had kept this song, which his Korean comrade used to sing to him, in his heart for 70 years. Thus, the testimonies of the veterans remind us anew of today's peace, built upon sacrifice and dedication.
The wounds of war left deep traces not only on soldiers but also on the lives of countless civilians. In particular, the stories of separated families who were torn apart from their loved ones are living testimonies that awaken us to the preciousness of peace. As in the case of Grandmother Lee Soon-gyun, introduced earlier, the years of deep-seated grief experienced by those who lost loved ones in the war or lived for long periods without knowing their fate are difficult to express in any words. Displaced persons who lived their entire lives separated from their husbands after seven months of marriage, children who lost their parents and wandered as orphans during the war, people who lost their families during evacuation and never met again... The Armistice Agreement stopped the gunfire and bombing, but it could not heal the longing and pain of separated families. Nevertheless, they did not give up and continued their small voices for peace. Separated families are conveying their pain and appealing that there is not much time left through various gatherings and testimonies. The earnest wish, "I would have no other wish if I could just see my sibling's face once in my lifetime, " and the hope, "I would wish for nothing more if unification came and we could freely come and go," resonate in all our hearts. On Armistice Day, events are held in various places where young people and children listen to these stories and write letters or convey messages of peace. The next generation, though not directly experiencing the war, is learning the tragedy of war and the preciousness of peace through the tears of their grandparents' generation.
Thus, these small but continuous efforts of memory and testimony come together to ensure that the history of the Armistice Agreement is not forgotten and is passed down to future generations.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and private organizations hold events such as inviting veterans, producing war testimony videos, and peace concerts every year on July 27th, conveying the message, "We remember your sacrifices". In 2023, a large-scale event was held in Busan to commemorate the 70th anniversary of the armistice and UN Forces Participation Day, bringing together veterans and their families from 16 countries around the world. It is said that the sight of white-haired veterans calling out the names of old comrades and singing Arirang in chorus, regardless of the scorching heat, moved everyone in attendance. Also, 'Remember 7·27' events commemorating Armistice Day were held in Korean communities overseas, including in the US and Canada, with voices continuing to emphasize, "We must remember the sacrifices of the Korean War heroes". As the generation who directly experienced the war is gradually leaving us, it is now time for our entire society to preserve their memories as historical records and sublimate them into a commitment to peace. The small voices on Armistice Day will gather to create a great resonance and will continue until the day true peace comes to the Korean Peninsula.
5. Differences Between 'Armistice' and 'Truce' and the Narrative of the Korean War
Regarding the Korean War, the two terms
"armistice (停戰)" and "truce (休戰)" are often used interchangeably, which can lead to misunderstandings. Strictly speaking, in international law, an
'armistice' refers to an agreement between belligerent parties to cease hostilities, indicating a state where the state of war itself has not officially ended. On the other hand, the term
'ceasefire' is sometimes used with the same meaning, but usually it refers broadly to a temporary or partial cessation of hostilities, distinguished from an armistice. For example, a temporary halt in fighting on a localized front can also be called a ceasefire. However, in Korean, these two words are often used without much distinction, causing confusion. Despite the official name of the agreement signed in 1953 being "Agreement on the
Military Armistice in Korea," it is often colloquially referred to as the "truce agreement". In government documents and the media, the terms armistice and ceasefire have been used interchangeably, and there is conceptual debate over whether the current state of the Korean Peninsula is an armistice or a truce.
However, from a realistic perspective, it is pointed out that this distinction is not very significant. This is because, regardless of how it is called, the current Korean Peninsula remains in a state where full-scale war has ceased, while also being in a state of war without a peace treaty. If one were to make a distinction, it could be said that the current state is closer to a truce in international law as the state of war continues, but in Korea, the ambiguous situation of neither war nor peace has officially been expressed as an "armistice state". In fact, for the general public, the reality that "the war has not yet ended" is more impactful than the conceptu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terms. There is no clear document from the government defin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it simply uses the two terms interchangeably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In conclusion, while there is a clear conceptual difference between armistice and truce, establishing peace in reality is more important than strict adherence to terminology.
In this context, the expression "70 years of armistice" carries the meaning of reminding us that it has not been 70 years since the war completely ended. In other words, the interpretation is that the Korean War has not "ended" but merely "halted" for 70 years. Due to this, the Korean War is often described as an unfinished war rather than an end to hostilities. While this narrative raises awareness about the continued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absence of a peace treaty, it also reinforces the confrontational structure by emphasizing the permanence of the war. North and South Korea have each constructed their own narratives of the Korean War from their respective perspectives. In South Korea, the Korean War has been taught as "a war for the defense of freedom," and the Armistice Agreement as "the victory of the UN and the Republic of Korea in halting communist aggression". In contrast, North Korea uses the term "victory in the Fatherland Liberation War" and has propagated the armistice as a victory against US imperialism. In terms of terminology, North Korea mainly uses the expression "armistice," but this merely reflects their regret at not having driven out the US forces, not that peace has been established. Thus, the difference in terminology is not merely a linguistic issue but is connected to differing perspectives on the war.
Today, rather than precisely distinguishing the meanings of armistice and truce, we are more focused on how to transform the symbols left by the armistice system into assets for peace. There are several places on the Korean Peninsula that symbolize the Armistice Agreement and division, but ironically, they are now being reborn as symbols of peace and reconciliation. The most representative of these is the
Demilitarized Zone (DMZ). Originally a space of tension and confrontation where weapons were pointed at each other, the DMZ area has transformed into an ecological peace zone where natural ecosystems have been restored and even endangered species reside, untouched by human hands for 70 years. During periods of heightened military tension between the two Koreas, there were constant skirmishes and incidents in the DMZ, but recently, efforts to make the DMZ a space of peace and coexistence have continued. Following the inter-Korean military agreement in 2018, some guard posts (GPs) were experimentally withdrawn, and attempts were made for joint excavation of remains within the DMZ and joint use of the Han River estuary. Although progress has currently stalled due to strained inter-Korean relations, proposals to designate the DMZ as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or an international peace park remain valid. Daeseong-dong and Gijeong-dong, the only civilian villages within the DMZ, and the Panmunjom Joint Security Area (JSA), which connects the two Koreas, symbolize the reality of division while also serving as symbols of reconciliation and hope. Panmunjom is the place where the Armistice Agreement was signed and later became the stage for inter-Korean dialogue, and in 2018, the leaders of the two Koreas and the US met in one place, creating a historic scene that showed the possibility of peace to the world.
Another place to note is the UN Memorial Cemetery in Busan. This is the world's only UN military cemetery, where soldiers from 16 UN member states who fought together during the Korean War rest in peace, serving as a symbol of international peace solidarity. Every year on November 11, the 'Turn Toward Busan' memorial ceremony is held, where the world observes a moment of silence facing Busan, honoring those who sacrificed for freedom and peace. The names of the fallen soldiers are engraved on the UN Forces Memorial Tower and the Memorial Tablet in the center of the park, where veterans, their families, and many visitors lay flowers to express their gratitude. The UN Peace Memorial Hall next to the park vividly displays the course of the Korean War and the signing of the Armistice Agreement, allowing visitors to reflect on the lessons of the war and the meaning of peace. Thus, the negotiation table in Panmunjom, the barbed wire fences and wildflowers of the DMZ, and the national flags of various countries unfurled at the UN cemetery in Busan all symbolically show the reality of the Korean Peninsula where war and peace intersect. As the state of "halted war" under the Armistice Agreement has lengthened, new hope and seeds of life have ironically grown on its wounds. Through these symbols, we remember the horrors of war and, at the same time, bear the responsibility of cherishing peace and completing it without fail.
6. Global Peace and Solidarity: Cases of Armistice/Truce in Other Countries and the Specificity of the Korean Peninsula
Looking at the reality of the 70-year armistice system on the Korean Peninsula, comparing it with cases of truce and peace in other conflict regions offers many implications.
Firstly, there is the case of Germany's division and reunification. After World War II, Germany was divided into East and West, becoming the frontline of the Cold War, but it is considered a successful case of peaceful reunification in 1990. Of course, Germany was not divided by an armistice agreement like Korea, and there was a peculiarity in that both West and East Germany were incorporated into the international system as defeated nations. Nevertheless, Germany's actions provide significant lessons for the Korean Peninsula. West Germany thoroughly reflected on its responsibility for the war and reconciled with neighboring countries, consistently making efforts to ease tensions with East Germany and the Eastern Bloc through its Ostpolitik. As a result, a European détente atmosphere led by West Germany and France was formed, and with the end of the Cold War, Germany achieved peaceful reunification. Although there was not a clear winner-loser dynamic as in Germany's case, its overcoming of division by confronting the wounds of war and cooperating with neighboring countries is highly valued. This suggests that the Korean Peninsula also needs to lay the groundwork for building a peace system through cooperation and trust-building with neighboring countries. However, as Germany's reunification was possible due to the confluence of democratic aspirations of its internal population and the consent of external great powers, it must be acknowledged that the Korean Peninsula, which currently faces a nuclear issue, has further challenges.
The case of the Vietnam War cannot be overlooked either. Unlike the Korean War, Vietnam went through two truce agreements. First, the 1954 Geneva Accords ended the First Indochina War, temporarily dividing the country at the 17th parallel, and then the 1973 Paris Peace Accords led to the withdrawal of US troops and a truce in the Vietnam War. However, Vietnam's truce did not last long, and with the fall of South Vietnam due to a full-scale offensive by North Vietnam in 1975, reunification was ultimately achieved through the North's victory. In this case, the truce agreement was merely a temporary cessation of hostilities and did not lead to final peace; the war only completely ended after a military decisive victory. In contrast, the Korean War is different from such general cases, with analysis suggesting that the armistice system has lasted for 70 years due to its unique characteristic of being halted without a clear winner or loser. Most wars end with a clear victory or defeat, but the Korean Peninsula's continuous truce without a decisive outcome has made it the longest-lasting armistice system in world history. This contrasts with the fact that reunification in Vietnam or Yemen was achieved by force. Vietnam ultimately resumed the war to achieve reunification, and Germany overcame division through peaceful means. However, the Korean Peninsula remains in an awkward state where war has not recurred, but peace has not been achieved either.
Due to the specificity of the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the international community often compares it to conflict regions in the Middle East or the Kashmir dispute between India and Pakistan. For example, between Israel and Arab countries, borders were defined by the 1949 armistice agreements, but wars have recurred multiple times since, and complete peace has not yet been achieved due to issues like the Palestinian question. India and Pakistan also signed a ceasefire agreement for the Kashmir region with UN mediation in 1949, but the conflict has persisted, and a nuclear standoff has even occurred. However, these cases do not exactly match the Korean Peninsula. The Korean Peninsula is more complex in that it involves an internecine civil war that escalated into an international conflict and was then put on hold, with major powers deeply involved. It also has the characteristic of being the only case where a collective security system like the UN directly intervened militarily. In this context, some experts point out that international cooperation to coordinate the complex interests of relevant parties is essential when converting the Armistice Agreement into a multilateral peace treaty to establish a peace system on the Korean Peninsula. North Korea has historically insisted on signing a peace treaty between the US and North Korea , but the interests of South Korea and the 16 UN member states that participated in the war, as well as China's role, cannot be ignored. Ultimately, the opinion that a multilateral peace treaty or a comprehensive security guarantee system involving all major actors related to the Korean War is needed is also gaining traction.
Looking back at the cases of armistice around the world, we gain both the lesson that a truce does not guarantee permanent peace and the hope that a truce itself can be the starting point for peace. The 70 years of experience with the Korean War Armistice Agreement are remembered as a special case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t is rare for such a prolonged unstable armistice to be maintained, thus the Korean Peninsula is recognized as a place for global solidarity and cooperation to complete its unfinished peace. In fact, the UN officially designated July 27th as 'Korean War Armistice Day' starting in 2023, commemorating it as a day when the war stopped but peace was not achieved. The Republic of Korea also commemorates this day as "UN Forces Participation Day," sending messages of gratitude and peace to the world. Ultimately, the issue of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is not just a matter for our nation but a global issue concerning peace, human rights, and security, and a solution must be found through international solidarity. Today, as we pass the 70th and enter the 71st year of the Armistice Agreement, we must engrave the lessons from other conflicts around the world in our hearts and not cease our efforts to establish sustainabl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It is the responsibility of the current generation to build upon the history of past wars and armistices to write a better future history.
References:
Armistice Agreement Text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Incheon Today "Meaning of the Armistice Agreement" (2023.07.27) , Kyunghyang Shinmun "Why Korea's Signature is Missing from the Armistice Agreement" (2023.07.24) , VOA Korea "70th Anniversary of the Armistice Agreement... A Long Way to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2023.07.21) , Ministry of Unification Card News "DMZ, A Space of Tension and Peace", etc.
Citations:
- [70th Anniversary of the Armistice] "Korean Peninsula War Escalation... From Armistice Agreement to Peace Treaty" - Society - News - Article Main Body - Incheon Today
- [News East West North South] 70th Anniversary of the Armistice Agreement... A Long Way to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 [News East West North South] 70th Anniversary of the Armistice Agreement... A Long Way to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 [News East West North South] 70th Anniversary of the Armistice Agreement... A Long Way to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 [70th Anniversary of the Armistice] "Korean Peninsula War Escalation... From Armistice Agreement to Peace Treaty" - Society - News - Article Main Body...
'우리들의 AI 윤리 이야기 > 2025 Brandon Tim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STRIKE EP12 -마크원 vs 인류 최강 전력! AGI의 파괴, 혹은 진화? (6) | 2025.07.31 |
---|---|
2025 AI 감시 추론 경고! 구글 GEMINI 개인정보 실제 대응기 4K (4) | 2025.07.28 |
조카가 던진 윤리질문! 10개국 삼촌의 답변 (0) | 2025.07.25 |
대한민국의 숨은 영웅들, 묵묵히 빛나는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0) | 2025.07.24 |
사회 불평등과 분노 : 어디로 향해야 하는가? (4) | 2025.07.21 |